한때 ‘초고가 주거지’의 대명사로 불리며 분양가 200억 원을 넘기기도 했던 서울 송파구의 시그니엘 레지던스가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 눈에 띄는 침체 조짐을 보이고 있다. 서울의 고급 아파트들이 여전히 활발한 거래와 신고가 갱신을 이어가는 가운데, 시그니엘은 올 들어 단 4건의 매매만 성사되며 외면받는 분위기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총 223가구로 구성된 시그니엘 레지던스는 2024년 들어 지금까지 단 4건의 매매가 이뤄졌다. 이는 2022년 13건, 2023년 11건의 거래량에 비해 큰 폭으로 감소한 수치다.
가장 최근 거래는 지난 7월로, 전용면적 204㎡의 매물이 73억 원에 팔렸다. 이는 작년 5월에 거래된 201㎡(88억 원), 같은 면적인 204㎡(76억 원) 매매가보다 낮은 수준이다. 또 지난 6월에는 전용 181㎡가 64억 원에 거래됐는데, 이는 2023년 3~4월에 각각 63억5000만 원(155㎡), 68억4000만 원(150㎡)에 팔렸던 것과 비교하면 면적은 크지만 가격은 오히려 낮거나 비슷한 수준이다.
이러한 시그니엘의 분위기는 최근 고가 아파트 거래가 활발한 서울 서초구 반포동이나 송파구 일대 다른 단지들의 상황과 뚜렷한 대조를 이룬다. 전문가들은 시그니엘이 일반적인 아파트가 아닌 오피스텔로 분류돼 투자나 거주 측면에서 선호도가 낮은 점, 그리고 최근 부정적인 뉴스에 자주 등장한 점 등을 인기 하락의 원인으로 꼽고 있다.
특히 전청조 사건이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는 분석도 있다. 재벌 3세를 사칭해 거액의 사기를 벌인 전청조가 시그니엘에 거주했던 사실이 알려지면서 이미지에 타격을 입었다. 전청조는 실제로 시그니엘 레지던스에 월 단위 단기 임대 계약을 통해 머물렀던 것으로 전해진다.
시그니엘은 일반 아파트에 비해 단기 임대 물건이 많은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처럼 단기 거주가 쉬운 구조는 고급 주거지로서의 희소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시그니엘의 150㎡ 규모 주택을 1년간 임대하려면 보증금 5000만 원에 월세 2200만 원, 여기에 관리비 300만 원이 추가된다. 또 월세는 1년 치를 선납해야 하는 조건이 붙어 있어 일반 임차인에게는 부담이 크다.
전문가들은 시그니엘이 가진 입지나 시설 면에서는 여전히 국내 최고급 수준이라는 데에는 이견이 없지만, 최근의 부정적 이미지와 함께 실거래가 하락 및 거래량 감소가 지속될 경우, 향후 투자 매력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 있다.